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207

漁父之利(어부지리) - 죽 쒀서 개준다.^^ '어부지리' 너무나 잘 알고 있고 자주 쓰이는 사자성어입니다. 보통 어떠한 일에 제 3자가 이득을 취할 때 비유적으로 사용하는 말인데 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전국시대 연나라는 서남쪽으로 조나라와 남쪽으로 제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었는데 한 번은 연나라에 기근이 든 틈을 따 조나라가 쳐들어 옵니다. 이때 연왕은 전쟁을 피하기 위해 세객(說客)이었던 소대(蘇代)를 조나라에 파견하게 됩니다. 이에 소대는 조나라를 방문하여 조나라 혜문왕을 만나게 되는데 이 때 소대는 다음과 같이 말을 합니다. "제가 오늘 귀국에 들어올 때 역수를 지나오다 재미있는 광경을 하나 보았습니다. 냇가에 조개 한 마리가 입을 딱 벌리고 햇빛을 쬐고 있는데 갑자기 도요새 한마리가 나타나 덥석 쪼았지요. 그러자 조개는 크게 놀라.. 2024. 7. 21.
嶽宗恒岱(악종항대) 禪主云亭(선주운정) - 오악의 으뜸 태산 ◎ 嶽宗恒岱(악종항대) 禪主云亭(선주운정)    → 오악 중 태산을 으뜸으로 하고 선(禪) 제사는 운운, 정정산에서 진행하였다.      ○ 言五嶽 以恒岱爲宗也        → 오악은 항대을 으뜸으로 여김을 말하는 것이다.     ○ 恒 唐本作泰 泰岱東嶽也        → 항(恒)은 당본에 태(泰)로 되어 있으니 태대는 동악(태산)이다.     ○ 天子十二秊一巡狩 必封禪泰岱        → 천자가 12년에 한 번씩 (지역을) 돌며 살피었는데 반드시 태산에서 봉선 의식을 하였다.     ○ 云云亭亭 泰岱下小山 必主宿於是 齋沐而後 祀岱宗焉        → 운운, 정정은 태대 아래에 있는 작은 산인데 항상(반드시) 천자는 이곳에서 묵으면서 목욕 재계한 후 태산에 제사하였다.* 嶽  큰 산 악* 宗  마루 종*.. 2024. 7. 13.
九州禹跡(구주우적) 百郡秦幷(백군진병) - 9주와 100군(고을) ◎ 九州禹跡(구주우적) 百郡秦幷(백군진병)    → 9주는 하우씨의 발자취이고 100군은 진(秦)나라가 합병한 땅이다      ○ 九州 冀兗靑徐揚荊豫雍也        → 9주는 기주, 연주, 청주, 서주, 양주, 형주, 예주, 옹주를 말한다     ○ 夏禹隨山刊木 分別九州 九州皆禹所經 故曰禹跡        → 하나라 우임금이 산를 따라 나무를 베어 9주를 나누어 구별하였으니 9주 모두가 우임금이 경유한 곳이고 그러므로 우임금의 발자취라 말한 것이다.     ○ 秦始皇有天下 廢封建之制 置郡凡三十六 歷代增益 乃至百郡 而置郡始於秦 故曰秦幷        → 진시황이 천하를 가졌을 때(통일하고) 봉건제를 폐하고 36개 군을 설치하였다. 시대기 지나면서 증가하여 100개에 이르렀으나 군의 설치가 진시황에서 시작되었.. 2024. 7. 5.
宣威沙漠(선위사막) 馳譽丹靑(치예단청) - 공신에 대한 예 ◎ 宣威沙漠(선위사막)  馳譽丹靑(치예단청)   → 위엄을 사막에 떨치고 얼굴과 용모를 그려 그 명예를 전하였다.     ○ 沙漠 朔北極邊之地, 言/爲將者能宣揚威武於沙漠        → 사막은 북쪽 끝 지방이며, 장수 된 자가 위엄과 무용을 사막에서 떨치는 것을 말한다.     ○ 丹靑 圖其形貌, 樹功則圖形而馳名譽於永久 如漢宣帝圖畵功臣於麒麟閣 是也        → 단청은 그 형상과 용모를 그린 것이다. 공을 세우면 형상(얼굴)을 그려 그 명예를 영원까지 기리니, 예를 들면 한나라 선제가 기린각에 공신을 그려 놓은 것이 그것이다.* 宣  베풀 선* 威  위엄 위* 沙  사막 사* 漠  사막 막* 馳  달릴 치* 譽  기릴 예* 丹  붉을 단* 靑  푸를청* 朔  초하루 삭* 極  다할 극* 邊  가 변* .. 2024. 6. 29.
起剪頗牧(기전파목) 用軍最精(용군최정) - 백기,왕전,염파,이목 ◎ 起剪頗牧(기전파목)  用軍最精(용군최정)    → 백기, 왕전, 염파, 이목은 군사를 운용하는데 가장 정교하였다(훌륭하였다, 뛰어났다)     ○ 白起王剪 秦將 廉頗李牧 趙將        → 백기, 왕전은 진나라 장수이고 염파, 이목은 조나라 장수이다.     ○ 言用軍之法 四將最精        → 군사를 운용하는 법에 있어서 4명의 장수가 가장 뛰어났음을 말하는 것이다.* 起  일어날 기* 剪  자를 전* 頗  자못 파* 牧  칠 목* 精  정성 정* 將  장수 장※ 백기(白起)중국 전국시대 말기 진나라 장군, 전국시대 최고 명장 중 한 명, 초한지의 한신과 더불어 중국사를 대표하는 명장으로 꼽힌다.조나라와 전투에서 잡은 포로 약 45만 명을 참수하여 '학살자'라는 비판도 있다. ※ 왕전(王剪)중국.. 2024. 6. 22.
兎死狗烹(토사구팽)- 유방과 한신 '초한지' 많이 들어본 책 이름이지요? '삼국지'와 함께 남자라면 한 번쯤은 읽어 보았을 책입니다. 내용은 중국 대륙을 놓고 한고조 유방과 초왕 항우가 싸우는 내용이고 결국은 유방이 항우를 무찌르고 한나라를 세우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먼저 왜 이야기를 하냐 하면 유방이 항우를 무찌르고 한나라를 세우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이 세 사람이 있는데 그 중 한 사람이 대장군 한신이기 때문입니다. 한신을 대장군으로 임명하고 유방은 연전연승을 거듭하게 되고 결국 항우를 무찌르게 됩니다. 그런데 한신이 유방에게 등용되기 전에 항우 밑에 있었던 것을 아시나요? 한신은 자신의 재능을 써 줄 사람으로 먼저 항우를 찾아 갑니다. 그러나 항우 밑에서 말단 하급 관리에 머물게 되어 항우를 찾은 것을 후회하고 있을 때 유.. 2024. 6.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