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97 97. 陳根委翳(진근위예) 落葉飄䬙(낙엽표요) - 때가 되면 간다 ◎ 陳根委翳(진근위예) 落葉飄䬙(낙엽표요) → 묵은 뿌리는 시들어 폐기되고 떨어지는 잎은 바람에 나부낀다. ○ 百艸/至冬而枯零 陳宿之根/委蔽於地也 → 수 많은 풀이 겨울에 이르러 말라 떨어지고 오래 묵은 뿌리는 땅에서 쇠하여 폐기된다. ○ 萬木/經霜而搖落 蕭疎之葉/飄舞於空也 → 수 많은 나무가 서리에 맞으면 잎이 떨어지고 앙상한 잎은 공중에서 나부끼며 춤을 춘다.* 陳 베풀 진 / 묵을 진* 根 뿌리 근* 委 맡길 위 / 시들 위/ 쇠퇴할 위* 翳 깃 일산 예 / 가릴 예* 落 떨어질 낙* 葉 잎 엽* 飄 회오리 바람 표* 䬙 (바람에) 흔들릴 요* 蔽 가릴 폐 ※여기서는 (弊)의 뜻으로 낡아 해지다.* 霜 서리 상* 搖 흔들 요* 蕭 .. 2025. 5. 3. 95. 渠荷的歷(거하적력) 園莽抽條(원망추조) - 자연 속 봄 여름 ◎ 渠荷的歷(거하적력) 園莽抽條(원망추조) → 도랑의 연꽃은 선명하고 동산 풀은 가지가 뻗어 나온다. ○ 溝渠之荷 當夏盛開的歷然 芳香可挹也 → 도랑의 연꽃은 여름이 되어야 활짝 피고 선명하니 이러한 연후에야 그 향기를 가히 잡을만 한다 ○ 園林之艸 方春交翠蒙茸然 抽條可愛也 → 정원의 수풀은 한창 봄에 서로 푸르고 우거지니 이러한 연후에야 그 빼어난(뻗어나온) 가지가 가히 사랑스럽다.* 渠 도랑 거* 荷 멜/꾸짖을/연꽃 하* 的 과녁/밝을 적* 歷 지낼/밝을 력* 園 동산 원* 莽 풀/우거질 망* 抽 뽑을 추* 條 곁가지 조* 溝 도랑 구* 盛 성할 성* 開 열 개* 芳 꽃다울 방* 香 향기 향* 挹 (물에)뜰 읍* 林 수풀 림* 艸 .. 2025. 3. 30. 94. 欣奏累遣(흔주루견) 慼謝歡招(척사환초)- 은퇴의 기쁨 ◎ 欣奏累遣(흔주루견) 慼謝歡招(척사환초) → 기쁨(기쁜 정)은 나아모아지고 쓸데 없는 일(나쁜 정)은 물러나며(보내지고) 슬픔을 사라지며 기쁨이 불려진다(오게된다) ○ 言 居閒散慮 則欣賞之情自進 而冗累之事自退矣 → 한가로이 거하며 생각(잡념)을 흩어버리면 기쁜 감상의 정이 저절로 나아오고 쓸데 없는 여러 일들이 스스로 물러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 疚慼之思日去 而歡樂之趣日來矣 → 근심 슬픔의 생각이 날마다 떠나가고 기쁘고 즐거운 재미(취미)가 날마다 온다* 欣 기쁠 흔* 奏 아뢸 주* 累 여러 루 / 묶을 루 / 폐(누) 끼칠 루* 遣 보낼 견* 慼 슬플 척* 謝 사례할 사 / 사양할 사* 歡 기뻐할 환* 招 부를 초* 閒 한가할 한* 散 .. 2025. 2. 28. 93. 求古尋論(구고심론) 散慮逍遙(산려소요) - 군자의 은퇴 후 ◎ 求古尋論(구고심론) 散慮逍遙(산려소요) → 옛 것을 찾아 토론하고 잡념을 흩어 버리고 유유자적(悠悠自適)한다 ○ 君子閒居 必有事焉 求古人之出處本末 而尋索討論 則身雖退 而有補於世敎 大矣 → 군자는 한가로이 거할 때도 반드시 일삼는것이 있으니 옛사람의 벼슬함과 은둔함의 本末을 찾아 토론하니 몸은 비록 물러났어도 사회(세상)교화에 도움이 크다. ○ 又當散其思慮 不以世事攖其心 逍遙而自適也 → 또 마땅히 잡생각을 흩어 내어 세상일로 그 마음을 어지럽게 하지 않게 하고 자유롭게 한가로이 거닐며 속세를 떠나 조용히 편안하게 지내야 한다.* 求 구할 구* 古 옛 고* 尋 찾을 심* 論 논의할 론* 散 흩을 산* 慮 생각할 려* 逍 거닐 소* 遙 멀 요* 閒 .. 2025. 2. 16. 이전 1 2 3 4 ··· 2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