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208

孝經 第4章 卿大夫(효경 제4장 경대부) ● 非先王之法服이면 不敢服하고 非先王之法言이면 不敢道하며 非先王之德行이면 不敢行이니라 → 선왕들의 예법에 맞는 옷이 아니면 감히 입지 않고 선왕들의 예법에 맞는 말이 아니라면 감히 말하지 않으며 선왕들의 (본이 된) 덕행이 아니라면 감히 행하지 않아야 한다. ● 是故로 非法不言하고 非道不行하여 口無擇言하고 身無擇行이니라 이러한 연고로 예법이 아니면 말하지 않고 도가 아니면 행하지 않으니 입이 가릴 말이 없고 몸이 가릴 행동이 없으니 ● 言滿天下라도 無口過하고 行滿天下라도 無怨惡니라 → 말이 천하에 가득하더라도 입(말로)으로 행하는 잘못이 없고 행동이 천하에 가득하더라도 원망과 미움이 없다. ● 三者備矣 然後에 能守其宗廟니라 → 세 가지가 준비된 이후에야 능히 종묘를 지키고 보존할 수 있으니 ● 蓋卿大夫之.. 2023. 8. 11.
孝經 第3章 諸侯(효경 제3장 제후) ● 在上不驕면 高而不危하고 制節謹度면 滿而不溢이니라 → 높은 자리에 있을 때 교만하지 않으면 높아도 위태롭지 않고 (씀씀이를) 절제하고 예법을 신중히 행하면 가득 차도 넘치지 않을 것이니 ● 高而不危면 所以長守貴也요 滿而不溢은 所以長守富也라 → 높아도 위태롭지 않으면 귀함이 오래 보존하 수 있고 차도 넘치지 않으면 부를 오래 보존할 수 있다. ● 富貴不離其身이면 然後能保其社稷하고 而和其民人이니라 → 부귀가 몸에서 떠나지 않으면 그 후에는 능히 그 사직을 보호할 수 있고 그 백성을 화목하게 할 수 있으니 ● 蓋諸侯之孝니라 → 대체로 (이것이) 제후의 효이다. ● 詩云 戰戰兢兢하여 如臨深淵하고 如履薄冰이라 하니라 → 시경에 이르기를 (제후는,높은 자리에 있는) 두려워하고 조심하여 깊은 못에 있는 듯 살얼음을.. 2023. 8. 11.
아름다운 금수강산 우리나라 좋은 나라 경성(서울)에서 열한 살 여학생이 독립운동으로 체포되었다. 일본 경찰이 엄하게 묻기를 " 너는 어찌하여 깃발을 들고 기뻐하고 즐거워하는가?" 하니 여자아이가 대답하여 말하길 "내가 잃은 것을 다시 찾아 그래서 기쁠 뿐이다." 일본 경찰이 말하길 "네가 잃어버린 것이 무엇이냐? 하니 여자아이가 말하길 "우리 대한민족이 대대로 전하여 온 삼천리 금수강산이다" 하니라 일본경찰이 말하길 "너는 어린아이이다. 뭘 안다고 그것을 기뻐하는가? 하니 여자아이가 다시 온화한 말로 대답하여 말하길 "당신은 실로 무지하군요. 요번에 우리 어머니가 바늘 하나를 잃어버리셨다 반나절만에 찾으셨다 이때 기뻐하는 모습을 보이셨거늘 하물며 삼천리 금수강산이 다시 우리의 것이 되었으니 어떤 즐거운이 그와 같으리오." 하니라 일본 경찰도.. 2023. 8. 11.
擊蒙要結 第8章 居家(격몽요결 제8장 거가)-① ● 凡居家에 當謹守禮法하여 以率妻子及家衆이니 分之以職하고 授之以事하여 而責其成功하며 制財用之節하여 量入而爲出하며 稱家之有無하여 以給上下之衣食과 及吉凶之費하되 皆有品節하여 而莫不均一하며 裁省冗費하고 禁止奢華하여 常須稍存贏餘하여 以備不虞니라 → 무릇 집에 머무를 때에는 마땅히 예법을 신중히 지키고 이로써 아내와 아이들과 집안 식구들을 이끌고 직책을 나누어 주고 할 일을 주고 그 성공을 바라고 재물을 쓰는 기준을 정하고 수입을 헤아려 지출을 하고 집재산이 있고 없고에 따라 위, 아랫사람의 옷과 음식 및 경조사비용을 주되 모두 등급대로 조절하며 균일하지 않음이 없어야 하고 쓸데없는 비용을 끊어내고 아껴야 하고 사치스럽고 호화스러움을 금지하여야 하며 항상 반드시 조금씩 남은 것을 보존하여 예상하지(염려하지) 못한.. 2023. 8. 10.
孝經 第2章 天子(효경 제2장 천자) ●子曰 愛親者는 不敢惡於人하고 敬親者는 不敢慢於人이니라 → 공자께서 말씀하시되 어버이를 사랑하는 사람은 감히 남을 미워하지 않으며 어버이를 공경하는 사람은 감히 남을 무시하지 않는다 ● 愛敬盡於事親하면 而德敎加於百姓하여 刑于四海하니라 →사랑과 공경으로 어버이 섬기기에 최선을 다하면 덕과 교화가 온 백성에게 이르고 온 세상의 본보기(법)가 된다. ● 蓋天子之孝也니라 → 이것이 천자의 효이다. ● 甫刑云 一人有慶이면 兆民賴之라 하니라 → 보형이 이르기를 " 한사람이 훌륭하면 만백성이 그를 신뢰하고 의지한다. * 慢 거만할 만, 업신여길 만 * 刑 형벌 형, 법 형 * 蓋 덮을 개 * 慶 경사 경 * 賴 의지할 뢰 * 甫 클보 * 於 어조사로 ~에게 ~관하여 ~ 보다 등으로 해석된다. 이에 惡於人을 직역하자면.. 2023. 8. 10.
孝經 第1章 開宗明義(효경 제1장 개종명의) ● 仲尼居에 曾子侍러니 → 중니가 한가로이 거하실 때에 증자가 모시고 있으니 ● 子曰 先王이 有至德要道하야 以順天下하니 民用和睦하야 上下無怨하니라 汝知之乎아 → 공자께서 말씀하시되 "선왕들이 지극한 덕과 중요한 도가 있어 이에 순응하여 천하를 다스리니 백성이 화목하고 상하 간에 원망이 없느니라 너는 그것을 아는가?" ● 曾子避席曰 參不敏하니 何足以知之리잇가 → 증자가 한쪽으로 피하며 말하길 "제가 둔하고 재빠르지 못한데 어찌 충분히 그것을 알겠습니까?" ● 子曰 夫孝는 德之本也요 敎之所由生也니라 復坐하라 吾語汝하리라 身體髮膚는 受之父母하니 不敢毁傷이 孝之始也요 立身行道하야 揚名於後世하야 以顯父母가 孝之終也니라 夫孝는 始於事親이요 中於事君이요 終於立身이니라 大雅云 無念爾祖아 聿脩厥德이어다 하니라 → 공자께.. 2023. 8.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