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雁門紫塞(안문자새) 雞田赤城(계전적성)
→ (관문은) 안문, (성벽은) 자새, (역참은) 계전, (성벽은) 적성
○ 雁門郡名 在幷州 春雁北歸踰此 故名
→ 안문은 군의 이름으로 병주에 있는데 봄에 기러기기 북으로 돌아갈 때 이곳을 넘어가므로 이러한 연유로 이름붙쳐지게 되었다.
○ 紫塞地名 秦築長城 土色皆紫
→ 자새는 지역 이름으로 진나라가 장성을 쌓을 때 흙색이 모두 자색이었다
○ 雞田在雍州, 昔 周文獲雌而王 秦穆獲雌而覇, 下有寶雞祠 秦郊祀處
→ 계전은 옹주에 있는데 옛날에 주나라 문왕은 암탉을 얻고 왕이 되었고 진 목공은 암탉을 얻고 패자가 되었다. 아래에 보계사라는 사당이 있으니 진나라에서 교사를 지내던 곳이다.
○ 赤城在夔州魚腹縣
→ 적성은 기주어복현에 있다.
* 雁 기러기 안
* 紫 자주빛 자
* 塞 변방 새, 막힐 색
* 雞 닭 계 = 鷄
* 城 재 성, 성 성
* 幷 아우를 병
* 歸 돌아올 귀
* 踰 넘을 유
* 築 쌓을 축
* 雍 누그러질 옹
* 獲 얻을 획
* 穆 화목할 목
* 寶 보배 보
* 祠 사당 사
* 郊 들 교
* 祀 제사 사
* 夔 조심할 기
* 腹 배 복
* 縣 고을 현
* 故(연고 고)
연고, 사유, 까닭 등을 의미하혀 옛부터, 그러므로, ~ 이런 연유로 , ~ 이런 사유로 ~하다. 등등으로 해석된다.
* 郊祀 (교사)
임금이 성 밖 들에서 지내던 제사.
※ 周文
주나라 문왕. 주나라를 세운 무왕의 아버지
※ 秦穆
진나라 목공. 춘추시대 진나라 9대 임금. 백리해 및 건숙을 등용하는 등 좋은 인재를 등용하고 재임 시 서융(서쪽 오랑캐) 땅을 획득하고 동쪽으로 진출 춘추오패 중 한 명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