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을거리

漁父之利(어부지리) - 죽 쒀서 개준다.^^

by 자유로운 구름 2024. 7. 21.
728x90
반응형

  '어부지리' 너무나 잘 알고 있고 자주 쓰이는 사자성어입니다. 보통 어떠한 일에 제 3자가 이득을 취할 때 비유적으로 사용하는 말인데 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전국시대 연나라는 서남쪽으로 조나라와 남쪽으로 제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었는데 한 번은 연나라에 기근이 든 틈을 따 조나라가 쳐들어 옵니다. 이때 연왕은 전쟁을 피하기 위해 세객(說客)이었던 소대(蘇代)를 조나라에 파견하게 됩니다.
이에 소대는 조나라를 방문하여 조나라 혜문왕을 만나게 되는데 이 때 소대는 다음과 같이 말을 합니다.
 

  "제가 오늘 귀국에 들어올 때 역수를 지나오다 재미있는 광경을 하나 보았습니다.
  냇가에 조개 한 마리가 입을 딱 벌리고 햇빛을 쬐고 있는데 갑자기 도요새 한마리가 나타나 덥석 쪼았지요.
  그러자 조개는 크게 놀라 순간 입을 오므려 도요새의 부리를 물고 놓아주지 않았읍니다.
  한참이나 이 상태가 계속되자 도요새가 말했읍니다.

    '이대로 있다가 비가 오지 않으면 너는 말라죽고 말걸'
  그러자 조개가 대꾸했지요
    '천만에, 내가 놓지 않으면 너야 말로 굶어 죽고 말 것이다'
  이렇듯 둘은 조금도 양보하지 않았습니다.
  그때 지나가던 어부가 이 광경을 보고 웃으며 아무 힘도 들이지 않고 두 놈을 냉큼 잡아가고 말았습니다. 
  지금 연나라가 조개라면 조나라는 도요새입니다.  두 나라가 쓸데없이 전쟁을 일으킨다면 백성은 도탄에 빠지고 국고는 비어 저 강대한 진(秦)이 어부 노릇을 할 것은 뻔한 이치입니다. 왕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소대의 말을 들은 혜문왕은 곰곰이 생각하다 깨닫는 바가 있어 결국 연을 공격하는 것을 단념하게 됩니다. 
 
후에 사람들은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제 3자가 이득을 보는 경우 '어부지리'라는 말을 사용하게 됩니다.
 
어부지리와 같은 뜻의 사자성어로 蚌(방합/조개 방), 鷸(도요새 휼)을 사용하여 방휼지쟁(蚌鷸之爭)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싸우는 당사자를 표현한 말이고 어부지리는 이득을 보는 입장에서 이야기하는 말입니다.
 
힘은 힘대로 쓰고 얻는 것보다 잃은 것이 많고 결국은 남 좋은 일만 한다면......^^.  안되겠지요?

 


* 漁  고기 잡을 어
* 父  아비 부
* 之  갈 지, 어조사 지
* 利  이로울 리
* 蚌  방합 방, 펄조개 방
* 鷸  도요새 휼
* 爭  다툴 쟁


* 전국 7웅(雄)
  중국 전국시대를 주도했던 7개 나라 (진, 초, 제, 연, 조, 위, 한)
 
* 소대(蘇代)
  합종책으로 유명세를 떨친 '소진'의 동생으로 합종연횡의 주동자이자 조직가, 달변가
 
* 혜문왕 (재위 BC 298 ~ BC 266)
  조나라의 7대 임금, 뛰어난 안목과 결단력으로 조나라의 국력신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재임 동안 '평원군, 인상여, 염파, 조사, 등 유능한 정치가 및 장군들과 함께 전성기를 이끌었고 이들의 활약으로 전국 7웅 중 최강국이었던 진나라의 동진(東進)을 저지했다.

728x90
반응형